귀농 창농 시 꼭 체크해야할 주요 사항
귀농 준비
귀농의 목적(어디서 무엇을 할 것인지)을 명확히 하고, 최소 3년 정도는 공부하면서 준비한 후 결행한다. 틈날 때마다 귀농 예정지를 자주 방문해 농촌 환경과 문화에 적응하며, 귀농·지역 지원 정책을 살펴보고 귀농 교육도 수강하도록 한다.
주택 구입 및 신축
처음에는 농가주택 등을 임대해서 2~3년 살며 본인 취향이나 주변 땅값 등을 고려한 후 실제 거주할 집을 짓는 것이 현명하다. 주택은 실속 있게 20평 내외로 지어 건축비나 관리비를 절감하고 대신 창고를 가능한 넓게 짓고, 공간이 된다면 비와 햇빛을 가려주는 작업공간을 따로 마련하는 것도 좋다.
농지 구입
처음에는 본인이 감당할 만한 면적을 임대해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하다. 토지 및 건물 구입 시 등기와 함께 건축물대장상의 소유 담보 여부를 점검하고 콘테이너가 주변에 있다면 가설건축물 신고 여부도 확인해 봐야 한다. 농기계 역시 얼마 동안은 임대해 쓰고 익숙해진 후에도 고가의 농기계 구입은 피하는 것이 좋다.
자금 준비
최소 2~3년은 수입이 없어도 버틸 수 있는 정착자금 마련이 성공적인 귀농의 필수 요건이다. 귀농 준비 자금(주택 및 토지 임대료)부터 영농자금(농기계, 설비 투자, 종묘 및 비료 등 구입), 생활비 등에 대해 철저히 분석한 후 자금 계획을 수립한다. 한 달 단위 최소 생활비를 책정하고 도시 생활과 비교해 늘어나는 지출과 줄어드는 부분을 잘 따져 계획을 세워야 낭패를 당하지 않는다.
정책자금 신청
정책자금은 크게 자금융자와 출연자금 그리고 기타 간접 지원으로 구분되며 연초에 그해의 정책자금 지원 계획이 공고된다. 지원 규모, 지원 조건 및 자금 종류 등은 해마다 조금씩 달라진다. 또 예산 운용에 따라 연중 수시로 지원 계획이 공고될 수 있다. 정책자금은 선착순으로 자금 소진 시까지 신청 가능하므로 자금 소요 일정을 미리 계획해 적기에 신청하도록 한다. 특히 정책자금 조달을 위해 필요한 요건을 즉시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창업 초기부터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해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물선택
작물은 관심 분야, 투자 규모, 기후, 교통 여건 등을 고려해 결정한다. 농수산물시장 등을 방문하고 생산 이력을 추적해 소비시장과 생산자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처음에는 벼농사 등 대규모 경작이 필수인 종목은 피하고 돈 되는 특용작물이나 경작 첫해부터 수확이 가능한 품목을 선택하면 실패 확률을 줄일 수 있다.
기타
지역 농업기술센터 등에서 작물 재배달력을 확보하고, 영농일지를 통해 메모하는 습관을 들이면 영농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마을 주민들과 벽을 쌓지 말고 먼저 다가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농사 기술은 물론 각종 지원정책 정보, 유통 정보 등을 모두 마을 주민들에게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 귀농귀촌지원센터 http://www.refarmgg.or.kr 는 귀농·귀촌을 위한 온·오프라인 상담과 정책정보 등을 제공하고 특히 청년 농부들을 위한 단계별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귀농귀촌 지원 통합플랫폼입니다.
경기농식품유통진흥원에서는 귀농·귀촌 대학도 운영 중 입니다.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는 경기농업대학과 신규농업인을 대상으로 귀농·귀촌 교육과정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작물에 대해 철저하게 공부하고 정착하려는 지역의 지원 정책과 규제 정책을 확인하고 국가에서 지원하는 저금리 대출 상품에 대해서도 알아봐야 합니다. 또한 토지를 매입하거나 임대할 때에는 일조량·강수량·지하수의 원활한 사용 여부 등 꼼꼼하게 따져보고 진행하셔야 합니다.
'귀농귀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일에 묻은 잔류농약 세척법 (0) | 2018.08.23 |
---|---|
잔류 농약 기준 대폭 강화 (0) | 2018.08.22 |
아프리카돼지열병 ASF (0) | 2018.08.21 |
농지 불법전용 과 농지보전부담금 (1) | 2018.08.19 |
마늘 주아재배, 종구비를 줄이고 수량성은 높이고 (0) | 2018.08.08 |